2013년 8월 11일 일요일

한국의 수능을 통해서 한국 사회를 다시 생각해 보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2008년 11월 12일(현지시간)자 1면과 15면에 한국의 수능시험독특한 풍경을 상세히 다루었다. 

이 신문은 당시 “날씨가 쌀쌀했던 최근 주말 저녁 김남선 씨는 1000명의 다른 학부모들과 함께 서울 남쪽의 한 사찰에 모여 밤새 기도를 했다. 

그녀는 부처님 앞에 무릎을 꿇고 3000배의 절을 하며 아들에게 행운을 기원했다.”라고 적었다.


미국인(WSJ)에게는 밤새 3000배을 하는 한국 부모들의 대단한 정성이 아마도 독특한 풍경으로 보였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이런 모습은 참 익숙하고, 전혀 이상하게 보이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수능 며칠 전부터 교회와 절은 수능을 치루는 아들과 딸을 둔 부모들로 북적거린다. 

이런 면에서 보면, 한국의 수능일은 마치 한국의 대표적인 종교 행사일처럼 보인다.
이것은 마치 북한의 김일성 주석죽은 후 북한 주민들이 진심으로 슬퍼하는 모습을 TV를 통해서 보고, 잠시 정신적인 혼란 빠졌을 때생각났다.  


 슬퍼하는 북한주민

위의 두 모습서로 다른 사건이지만, 한민족의 밑바탕에 흐르는 독특한 정서를 조금 읽을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 같다.
심지어, 어떤 유명한 점술가가 노태우 전 대통령에게 '국민 모두에게 부처님을 선물하면 대통령이 될 수 있다.'고 말했고, 이 때문에 십원 동전에 불상을 넣었다는 소문이 나돌 정도로 한국인 종교성은 유별나게 깊은 편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에서 대표적으로 어려운 시험인 국가고시를 새롭게 생각해보자.

이런 시험은 개인이 감당하기에 너무 어렵고 또한 시험 준비기간 너무 길기 때문에 응시자들을 종교적으로 만들 수 있다.



마치 환경적으로 감내하기 가장 힘든 환경 속에서 살아내고 있는 티베트인들이 종교에 가장 강하게 종교의존하듯이, 한국의 어려운 국가고시가 수험생에게 종교성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측면이 있는 듯하다.

그렇지만 만약 시험점수 1~2점 차이로 사람의 운명이 바뀐다면, 누구든지 종교에 의지하려 할 것이다. 

어째든 한국 사회너무 경쟁적이어서 종교의존하기 좋은 사회로 보인다.
하지만 한국의 이런 시험들은 주어진 정답, 즉 암기를 요구한다는 어두운(?) 특징을 가진다. 

이 때문에, 이런 시험들은 시험 응시자들에게 시험 결과만을 중요하게 여기고, 과정은 무시하도록 요구하는 측면이 있다.
결국 이런 시험들은 문제 속에 숨어 있는 의미를 찾는 등의 창의적인 생각을 없애고 단지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서 암기하는 요령만을 요구한다. 

실제로 한국사회는 암기를 잘하는 사람들이 출세할 가능성이 더욱 높다.



이런 시험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만들어진 이론과 학문을 단순히 문장으로 암기하여 서로 연결하고 종합하는 정도를 응시자에게 요구하지, 그 이면에 있는 것을 창조적으로  재조립하고 능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런 사회는 현상 속에 숨은 의미와 근본 원인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창조적인 사람들에게 실망을 안겨줄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런 사회는 암묵적으로 권위를 중시하고 창조적인 사람을 무시하게 된다. 

이런 사회적인 특성 때문인지 아직까지 한국에서 과학자 분야의 노벨상을 받은 사람은 없다.
또한 종교는 이런 시험을 준비하는 응시자에게 마치 위약효과(플레시보 효과, placebo effect)와 비슷한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다. 





종교는 이겨내기 힘든 시기에 이들에게 합격에 대한 희망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것은 마치 연인이 서로를 사랑할 때 분비되어 서로 사랑에 눈멀게 만드는 사랑의 호르몬들(도파민, 세라토닌 등)과 비슷한 효과가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효과를 통제감에서 찾고 있다.  
즉 심리학자들은 ‘통제하고 싶은 인간의 욕구는 강력하고, 자신이 어떤 것을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은 자신을 매우 기쁘게 한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통제할 수 없는 것도 통제할 수 있다고 착각한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정신 건강의 중요한 원천 중 하나로 심리적 통제감(아무런 객관적 근거가 없다고 할지라도)을 서슴없이 꼽는다.’라고 말한다.
심지어, 심리학자들은 ‘특히 더 놀라운 사실은 통제할 수 없는 것을 통제할 수 있다는 착각이 주는 심리적인 이득이 진정한 통제력이 주는 이득과 별 차이가 없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한국에서의 종교는 주로 자신의 욕심(합격 등)을 채우는데 사용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즉 이런 태도는 자신만을 생각하는 다분히 기복적 신앙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인간의 역사는 자연의 어려움들을 좀 더 잘 제어할 수 있도록 발전해왔다. 

이에 따라서, 인간의 판단기준이 '인간 신체의 연약함에서 비롯된 종교성에서 부터 자연의 합리성으로 조금씩 바뀌어 왔다.'는 것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점수 위주의 서열구조(권위주의 등)를 허물고 창조적인 사람을 흡수할 수 있는 교육 및 시험제도로 점차 바뀌었으면 한다.